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돈키호테 팝업 정보 및 쇼핑리스트 인기 상품 순위 총정리

by 수지빈 2025. 7. 10.

    [ 목차 ]

일본의 대표적인 할인형 생활잡화 전문점인 '돈키호테'가 국내에서 대형 팝업스토어를 선보이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일본 여행에서 자주 찾던 브랜드를 국내에서도 만날 수 있게 되면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특히 이번 팝업스토어는 단순한 체험형 공간을 넘어 실제 구매와 브랜드 경험이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한국 편의점 업계와 유통 시장에도 새로운 자극을 주고 있습니다.

 

 

일본 돈키호테와 GS25가 콜라보!

1998년, 남극에서 태어나 도쿄에서 자란 펭귄이 돈키호테 매장을 돕게 되었습니다. 돈키호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달을 타고 있는 돈펜. 돈펜은 밤을 아주 좋아하며 “밤에 외롭다면, 돈키호테에

www.donki.com

 

사진출처=https://www.donki.com/kr/campaign/popupstore/

돈키호테 팝업 이용 정보

📌기본 운영 정보

장소: 더현대 서울 지하 1층 대행사장 (유리돔)

운영 시간: 백화점 영업시간과 동일 (월-목: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 금-일: 오전 10시 30분 ~ 오후 8시 30분)

 

📌입장 방법

팝업스토어는 현장 웨이팅을 통해 입장할 수 있습니다. 지하 2층 지하철 출입구 앞 웨이팅 라인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팝업스토어 오픈 시간보다 훨씬 이른 시간(오전 7시 30분)부터 등록이 시작되므로, 방문객이 몰리는 주말이나 특정 시간에는 일찍 방문하여 등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진출처=gs25 공식 인스타그램

 

 

돈키호테 팝업 현장 이벤트

SNS 인증 이벤트: GS25 공식 인스타그램(@gs25_official)과 돈키호테 한국 인스타그램(@donki_kr)을 팔로우하고, 해당 이벤트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른 후 현장 스태프에게 인증하면 'TKG 간장계란밥 소스'를 선착순으로 무료 증정합니다. 수량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으며, 1인당 최대 2개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GS25 공식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사진출처=gs25 공식 인스타그램

 

구매 금액별 동전 캡슐 뽑기: 팝업스토어에서 30,000원 이상 구매 시 경품 캡슐 뽑기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경품은 1등(조네츠 식품 선물세트), 2등(비공개 선물), 3등(반짝반짝 스티커)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당첨 확률이 희박할 수 있습니다.

돈키호테 인기 상품들 순위와 소개

최근 이틀(7월 8일~9일)간의 매출을 기준으로 가장 인기가 많았던 상위 5개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위- 참깨마늘소스 후리가케: 밥 위에 뿌려 먹는 일본식 조미 가루로, 간편하게 밥에 다양한 맛을 더할 수 있어 SNS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돈키호테 PB 상품입니다.
  • 2위- 멘쯔유: 가다랑어포(가쓰오부시)로 만든 일본식 간장입니다. 일반 멘쯔유 대비 농축 정도를 2배로 높여 진한 맛이 특징인 돈키호테 PB 상품입니다.
  • 3위- 계란에 뿌리는 간장: 일본의 날계란 덮밥에 사용되는 조미 간장입니다.
  • 4위- 파우치형 곤약젤리: 관광객들 사이에서 선물용으로 인기가 많으며, 다양한 과일 맛과 낮은 열량으로 다이어트 간식으로도 선호됩니다.
  • 5위- 간장 계란풍의 양념장: 날계란 덮밥과 비슷한 맛의 양념을 간단하게 낼 수 있는 소스로, SNS와 유튜브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돈키호테 공식몰 바로가기

 

이 외에 돈키호테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는 상품들은 ▲스킨케어 제품 ▲일본 한정 간식 ▲생활용품 등입니다. 일본 현지 뷰티 유튜버들이 추천하는 '로토 멜라노 CC 비타민C 에센스'와 '히루루루 크림' 또한 '프리미엄 한정맛 프링글스', '일본산 푸딩 믹스', '기능성 입욕제' 등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구매자들이 가장 많이 촬영해 SNS에 공유하는 제품도 이들 인기 상품으로, 소비자 경험이 온라인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gs25 공식 인스타그램

 

돈키호테 팝업 이용률 및 후기

팝업스토어 오픈을 앞두고 이미 수많은 소비자들의 기대가 모아지고 있으며, 사전 SNS 게시물만으로도 수십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Z세대를 중심으로 '직접 방문 인증샷' 열풍이 예상되며, 뷰티 크리에이터와 유튜버들이 현장을 다녀간 이후 더욱 높은 방문율이 예상됩니다. 기존에 일본을 방문해야만 구할 수 있던 상품들을 서울에서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 7일 진행된 프리 오픈 행사에는 하루 1,500명 이상의 고객이 다녀갔으며, 현장 분위기에 대한 반응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입니다. 고객들은 “일본 여행을 간 기분”, “제품 구성이 다양하고 알차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gs25 공식 인스타그램

돈키호테란?

돈키호테는 일본에서 1989년 설립된 종합 할인점 체인으로, 공식 명칭은 '파미리마트 유니'입니다. 일본 전국에 6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과 상품의 다양성, 24시간 영업이라는 차별화 전략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매장 내 혼란스러운 듯 질서 있는 진열 방식과 독특한 마케팅 전략으로 ‘보물찾기형 쇼핑’을 가능하게 만든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태국, 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 진출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한국 시장 진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습니다. 팝업스토어는 정식 매장 진출 전 수요를 확인하기 위한 사전 타진의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사진출처=https://www.donki-global.com/

돈키호테 인기 비결과 국내 편의점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

일본을 대표하는 초저가 유통 브랜드 ‘돈키호테’는 독특한 매장 구성과 다양한 상품군, 그리고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일본 소비자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에게도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 인기의 핵심은 단순히 저렴한 가격에 있지 않습니다. 먼저, 돈키호테는 '보물찾기형 쇼핑'이라는 개념을 정착시켰습니다. 매장 진열이 정돈되어 있지 않은 듯 보이지만, 그 속에는 인기 상품, 트렌디한 수입품, 한정판 제품이 혼재되어 있어 소비자가 스스로 상품을 찾는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경험 중심의 구매 방식’은 단순한 소비를 넘어 브랜드와의 정서적 연결을 가능케 하며, MZ세대 소비자들에게 특히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또한 돈키호테는 일본의 로컬 감성을 적극 반영한 ‘현지형 상품 개발’과 ‘한정판 전략’을 통해 반복 방문을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관광객은 물론 일본 내 소비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제공받는 구조를 갖추게 되었고, 이 점이 타 유통 매장과 차별되는 지점입니다. 가격 또한 중요한 요소로, 동일 품목이라도 다른 대형마트나 드럭스토어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해 ‘가격 신뢰도’를 형성했습니다. 이는 대량 유통, 자체 수입, 한정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가능해졌으며, 국내 유통 시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사진출처=https://www.donki-global.com/

 

현재 국내 편의점 업계는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24시간 운영’과 ‘소량 구성 중심의 소매 전략’에서 벗어나야 할 시점에 도달하고 있습니다. 돈키호테와 같은 체험형 유통 모델은 국내 편의점 업계가 단순 판매 공간에서 탈피하여 ‘경험형 소비 공간’으로의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최근 일부 편의점에서는 뷰티 제품 체험존, 이색 콜라보존, 푸드페어 공간 등을 도입하며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제한적인 접근에 머물고 있습니다.

 

국내 편의점은 앞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팝업스토어 모델을 정기적으로 도입해 소비자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는 단기적인 매출 증가뿐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둘째, PB(Private Brand) 상품의 품질을 더욱 고도화하고, 이를 해외 시장에 수출하는 구조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국내 편의점의 삼각김밥, 컵밥, 즉석 디저트 등은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한류 상품’으로 호평받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현지 맞춤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셋째, 점포 운영의 디지털화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해야 합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고 및 상품 배치 전략, 키오스크 주문 및 모바일 결제의 고도화, 나아가 AI 추천 상품 구현 등 스마트 유통 전략이 요구됩니다. 넷째, 오프라인 점포를 커뮤니티형 공간으로 전환하여 지역 주민과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단순 소비 이상의 체험을 제공하는 복합 공간으로의 진화를 시도해야 합니다.

사진출처=https://www.donki-global.com/

 

돈키호테의 한국 팝업스토어는 단기적인 흥행을 넘어서, 국내 유통 업계에 실질적인 자극과 변화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본 유통 산업이 수십 년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압축적 체험’의 형태로 제공한 이번 이벤트는 단지 외국 브랜드를 흥미롭게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는 국내 유통 구조가 정체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어떤 혁신을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거울과도 같습니다. 소비자는 이제 더 이상 단순한 구매만으로 만족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브랜드가 제공하는 경험, 발견의 즐거움, 그리고 스토리에 반응합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 편의점 산업 역시 ‘빠르고 편리한 구매처’라는 기존의 정체성을 넘어서 ‘트렌드와 경험을 선도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할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