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여름휴가 시즌을 맞아 해외여행을 떠나는 국민이 늘고 있습니다. 여행 중에도 스마트폰 사용은 필수지만, 자칫 요금 폭탄이나 개인정보 유출 등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통신 꿀팁을 소개합니다.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주의] 타인 수하물 위탁 운반시 마약범죄 연루 주의 최근 태국 등지에서 유럽(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튀르키예 등)으로 여행하는 우리 국민이 타인의 수하물을 대신 운반해 주는 과정에서, 수
www.0404.go.kr
해외 여행시 로밍방법
해외에서 스마트폰을 그대로 사용하려면 로밍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출국 전 각 통신사 고객센터나 홈페이지, 앱에서 로밍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공항의 로밍센터에서도 가능합니다. 데이터 로밍은 일반적으로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 로밍 허용' 항목에서 활성화하면 되며, 여행 국가에 따라 자동으로 현지 통신망에 연결됩니다. 단, 자동 연결 시 고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로밍 요금제를 사전 등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밍 차단 방법
데이터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폰에서 로밍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드로이드는 ‘설정 > 네트워크 > 데이터 로밍’을 비활성화하고, 아이폰은 ‘설정 > 셀룰러 > 데이터 로밍’을 꺼주면 됩니다. 이와 함께 ‘기내 모드’ 설정 후 와이파이만 사용하거나, 통신사 앱을 통해 아예 데이터 차단 신청을 해두면 요금 과다 청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별 24시간 운영 로밍센터
국내 주요 통신사들은 해외에서도 24시간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SK텔레콤: +82-2-6343-9000
- KT: +82-2-2190-0901
- LG U+: +82-2-3416-7010
또한 각 통신사의 로밍 앱이나 홈페이지에서도 긴급 조치가 가능하니 출국 전 고객센터 번호와 앱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해외 여행시 유심 사용방법
유심(USIM) 교체는 로밍보다 저렴하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행국 공항이나 시내 매장에서 유심을 구입한 뒤, 국내 유심을 꺼내고 현지 유심을 장착하면 자동으로 해당 국가의 통신망에 연결됩니다. 구매 시에는 데이터 용량, 사용 기간, 핫스팟 가능 여부 등을 비교해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해야 하며, 듀얼심 지원 기기의 경우 유심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유용합니다.
유심 분실 시 대처 방법
해외에서 유심을 분실하면 현지 통신사 매장에서 재발급을 요청할 수 있지만, 대부분 여권 등의 신분증을 요구합니다. 국내 유심의 경우 귀국 후 통신사 대리점에서 재발급을 받아야 하므로, 출국 전 반드시 유심 트레이 핀, 유심 케이스, 여분 유심 등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분실 즉시 현지 통신사 또는 국내 통신사 고객센터에 연락해 유심 정지를 요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유심 잠금/분실신고/발신 정지 방법
스마트폰 분실 또는 유심 도난 시에는 즉시 유심 잠금 또는 발신 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SK텔레콤은 T월드 앱, KT는 마이KT 앱, LG U+는 U+고객센터 앱에서 간편하게 잠금 설정이 가능합니다. 앱 사용이 어렵다면, 통신사 고객센터에 국제전화를 걸어 유심 정지 및 발신 정지를 요청하면 됩니다. 이때, 본인 인증을 위한 정보(이름, 생년월일, 가입 전화번호 등)를 요구받을 수 있으니 미리 정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공공 와이파이 사용 주의사항
해외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 보안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공공 와이파이망은 암호화되지 않거나 보안이 취약한 경우가 많아,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비밀번호가 설정된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금융 거래나 로그인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VPN(가상 사설망) 앱을 이용하면 암호화된 통신이 가능하므로 보안이 강화됩니다.
여행 중 스마트폰 안전하게 쓰는 법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사용하시려면 운영체제(OS)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공항, 카페,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제공되는 개방형 와이파이나 충전 단자를 이용하실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밀번호가 없는 와이파이에서는 계정이나 결제 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고, USB 포트를 통한 충전은 개인 정보 탈취나 악성코드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가급적 어댑터와 전용 충전 케이블 또는 보조배터리를 활용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보안을 위해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개방형 와이파이 사용은 지양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마트폰은 여행 중 지도, 통번역, 결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분실이나 도난, 해킹 등 위험도 높습니다. 첫째, 스마트폰에 잠금 패턴, 지문인식, 얼굴인식 등을 설정해 분실 시 타인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 클라우드 백업 기능을 활성화해 사진과 연락처 등의 자료를 주기적으로 백업해두면, 분실 시에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위치 추적 기능(예: '나의 iPhone 찾기', '구글 기기 찾기')을 활성화해두면 긴급 상황 시 빠르게 위치를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기타 필수 정보
해외여행은 새로운 문화와 풍경을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그러나 낯선 환경 속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을 마주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충분한 정보를 숙지하고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 정부는 여권 관리, 비상시 대처 요령, 여행자 보험, 전자제품 충전, 환전 요령 등 다양한 생활 밀착형 정보를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여행객들도 이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첫째, 여권 및 비자 관련 정보는 여행 출발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여권의 남은 유효기간이 6개월 미만이면 입국이 제한될 수 있으며, 국가에 따라 사전 비자 발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부 국가는 전자비자나 도착 비자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나 해당 국가 대사관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여권 분실에 대비해 사본을 별도로 보관하거나, 클라우드에 저장해두면 유사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해외 여행자 보험은 반드시 가입해야 할 항목입니다. 의료 체계와 비용이 국내와 큰 차이가 있는 국가가 많아, 단순 감기 치료부터 사고 시 입원까지도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보험은 공항에서 즉시 가입하거나, 출국 전 통신사 또는 카드사, 보험사 앱 등을 통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보험 가입 시에는 보장 범위, 긴급 후송, 항공편 취소 및 수하물 분실 보상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셋째, 현지에서의 전자제품 사용을 위한 플러그와 전압 정보도 중요합니다. 나라마다 사용하는 전압과 콘센트 모양이 달라 변압기나 멀티 어댑터가 필수이며, 사전에 국가별 전압 정보를 확인해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 카메라, 노트북 등을 사용할 경우 멀티포트를 갖춘 USB 충전기나 보조 배터리를 준비하면 유용합니다.
넷째, 환전 및 지불 수단에 대한 계획도 세워야 합니다. 공항보다는 시내 은행이나 환전소가 환율이 더 유리한 경우가 많으며, 일부 국가는 환전소보다 ATM 출금이 더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이 보편화돼 있으나, 소액 결제가 어려운 지역도 있으므로 일정 금액의 현금을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단, 분실에 대비해 여러 군데 나눠서 소지하는 것이 좋으며, 현금보다 카드 사용 시에는 해외 이용 설정이 활성화돼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긴급 상황에 대비한 대사관 연락처 및 현지 응급번호는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여권 분실, 사고, 범죄 피해 시 재외공관은 가장 중요한 보호 기관입니다. 외교부는 ‘영사콜센터(☎+82-2-3210-0404)’를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재외공관 위치와 연락처는 외교부 홈페이지 또는 '해외안전여행'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지에서도 경찰, 구급차, 소방 등을 부를 수 있는 번호를 미리 알아두면 위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은 철저한 준비가 안전한 여행으로 이어지는 첫걸음입니다.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정보 하나하나가 실제로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위급한 순간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낯선 곳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더욱 풍요롭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떠나기 전 이 같은 필수 정보를 반드시 숙지하고 체크리스트로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